V. 결론

본 논문은 먼저 마르크스와 엥겔스, 레닌, 로자 룩셈부르크, 그람시, 스탈린, 트로츠키의 당이론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 정당이론이 제기하는 일반적인 문제의식과 각 주장의 고유한 착목점을 살펴보았다. 이를테면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는 노동계급이 참정권을 완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노동계급을 어떻게 스스로 조직할 것인가를 고민했으며, 주로 노동계급과 구별되는 당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혁명 전 레닌은 부르주아민주주의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조건에서 소수의 선진인사들이 노동자를 정치투쟁의 주체로 내세우는 정당을 어떻게 형성하고 유지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반면 로자 룩셈부르크나 그람시는 보통선거와 평등선거와 같은 부르주아민주주의가 보장되는 조건에서 합법적인 대중정당의 문제를 고민하였다. 특히 정당의 과두제와 관료제,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모색하였다. 서유럽의 합법적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은 제도정치에 갈수록 제도정치에 편입되고 이에 맞게 자신을 끊임없이 수정하여 왔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자본주의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자본주의를 변혁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였다. 오늘날 계급지배가 부르주아지의 계급지배로서만 실현될 수 있다면, 국가적 정치는 부르주아적 정치로 대변된다. 설령 정치가 계급착취와 계급지배를 철폐하기 위한 것일지라도, 그 정치가 국가적 정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면, 그 정치는 계급적 지배로의 이행을 준비하는 새로운 지배-피지배관계를 만들어 낸다. 서유럽의 마르크스주의 정당은 대중을 부르주아 국가로 통합시키는 기제가 됨으로써 부르주아적 정치에 직접적으로 포섭되었다.(김세균, 1992)
스탈린은 당의 집권기간에 있어 노동계급을 포함한 전 사회와 국가에 대한 당적인 통제를 강조하여 엘리트정당과 관료제를 조성하였다. 트로츠키는 이를 비판하였으며, 스탈린주의정당을 극복하려는 유산을 남겼다. 스탈린이 존재하는 동안 현대의 서유럽에게까지 스탈린주의정당의 그늘이 걸쳐 있었지만 그 반대편에서는 어떠한 중앙집권적인 당도 거부하려는 역편향도 존재하였다. 스탈린체제의 붕괴 이후 이러한 역편향을 비판하며 레닌의 고전적인 이론에 충실하면서 중앙집권적이며, 민주적인 혁명적 대중정당을 건설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정당이론의 배경을 볼 때 모든 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정당이론, 나아가 같은 나라라도 모든 정세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정당이론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각 나라의 상황과 정세에 따라 실천적인 문제들이 제기되어 왔으며, 그에 따라 정당이론도 변해왔다. 물론 사회주의노동자당 자체의 필요성과 이를 관철시키는 다양한 전술의 인정, 사회주의노동자당과 노동계급의 결합에 있어 자발성의 존중, 당 지도부와 당원대중의 관계에 있어 민주주의 정착, 보통선거와 의회정치를 기반으로 하는 대중정당에서 일반적 지지획득의 문제 등에 대해 공통된 문제의식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여전히 변증법적 방식이라는 다소 모호한 한계를 노출하였다. 이런 점을 볼 때 결국 우리 역시 기존의 이론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기초에서 출발하여 구체적 현실에 부응하는 탄력적인 정당이론을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이론의 검토를 전제로 하여 마르크스 시대 특히 공산주의자동맹이 제기하는 정당이론의 쟁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동맹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해체과정, 특히 음모조직을 정당조직으로 전환시키려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의도를 조명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마르크스가 지도하였던 공산주의자동맹의 사례를 통해 마르크스주의 정당이론이 제기하는 쟁점들을 실천적 차원에서 그 역사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노동자정당은 필요하고, 그 정당은 폐쇄적인 음모조직을 탈피하여 내부적으로 민주적인 조직질서를 갖고 있어야 하며, 일상적으로 대중적인 선전활동과 대중투쟁을 조직해 나가야 한다. 또한 노동자정당은 노동자계급의 독자적인 정당이며 가급적이면 여러 개가 난립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되어야 한다. 노동자 정당은 농민이나 쁘띠부르주아를 그 구성원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나 혁명의 승리를 위해 이들을 노동자 측에 묶어 놓은 연대활동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혁명의 성격이나 각국의 사정에 따라 노동자정당이 부르주아세력이나 애국적인 민족주의 세력을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이들을 비판하고 경계하여 추후의 대결을 염두 해 두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하여 마르크스의 공산주의자동맹이 정당이론과 관련하여 제기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계급은 스스로 경제투쟁에서 정치투쟁으로 나아가고, 또한 부르주아의 지배기구에 맞서 노동자정치조직을 스스로 조직해 나가야 마땅하나, 부르주아 지배이데올로기와 노동계급의 자신의 불균등성과 내부 균열에 의해 이러한 정치투쟁과 정당의 건설이 방해받고 있기 때문에, 선진적인 사회주의자들은 노동계급과 함께 민주적인 사회주의 노동자당을 건설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주의노동자당은 민주적인 선출에 의해 중앙과 지역 단위에서 충회와 중앙위원회 등 대의기구를 구성해야 하며, 당원들은 이들을 선출할 뿐만 아니라 소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당은 민주적인 중앙집권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가져야 하며, 특히 소수의 음모가들에 의해 당이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당은 당원 대중의 자유로운 토론을 거쳐 당의 대의기구에서 당의 노선과 활동방침을 정해야 한다.
둘째, 공산주의자동맹은 합법적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을 건설할 수 없는 정세 속에서 공개적인 노동자정치조직의 외피를 두르고 있었다. 공산주의자동맹은 다양한 노동자조직을 만들거나, 기존의 노동자조직에 들어가 적극적 활동을 통해 조직의 지도부를 장악하거나 실질적인 주도권을 확보하였다. 이때의 노동자조직은 정치조직에 국한하지 않았고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는 동호회, 친목회, 심지어 체육, 음악 등의 명목으로 결집하였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노동자조직을 가능한 한 노동자동맹으로 통합시켜나가 공산주의자동맹의 실질적인 대중조직 혹은 지부로써 활용하였다.
나아가 마르크스와 공산주의자동맹은 노동자동맹을 통하여 다양한 민주주의 단체를 일시적으로 규합하여 공동의 대중투쟁을 전개하는 공동위원회를 구성하였다. 또한 가능하면 마르크스와 공산주의자동맹의 지도부들은 이 공동위원회의 지도부에 결합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공산주의자동맹은 공산주의자동맹이라는 왜소한 틀에 얽매이지 않고 정세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중투쟁조직과 함께 하는 당을 지향하였다.
셋째, 공산주의자동맹과 마르크스는 반()합법적인 대중투쟁을 기본으로 삼았다. 특히 공산주의자동맹은 대중투쟁의 정세가 고양되면 다양한 노동자조직, 민주주의조직과 연대하여 대규모 집회, 대중투쟁 등을 주도하였다. 하지만 마르크스와 공산주의자동맹은 당시의 제한된 조건에도 불구하고, 의회에 대한 대규모 서명운동과 청원, 선거와 의회의 참여와 같은 합법적인 제도투쟁을 부정하지 않았다.
또한 공산주의자동맹은 평상시에 대중적 기관지와 유인물을 통해 선전활동과 교육활동에 주력하였다. 마르크스는 일생에 걸쳐 각종 신문을 직접 발행하거나, 민주주의적 신문에 지속적으로 기고하였다. 나아가 민주주의적 신문사에 대한 적극적 활동을 통해 이를 혁명적 기조의 신문사로 전환시키고자 하였고 일부 성공하였다. 또한 공산주의자동맹과 마르크스는 그때 그때의 정세에 맞게 대중에 대한 호소문, 유인물을 작성하여 널리 배포하였다.
결론적으로 공산주의자동맹을 통해 본 마르크스의 정당은 합법적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이 불가능한 조건에서 노동자대중조직 안의 민주적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일상적으로 대중적인 선전선동활동을 할 뿐 아니라 대중투쟁과 함께 하는 사회주의노동자당이라고 볼 수 있다.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김세균. 1989. "마르크스의 국가관" 철학 89년 봄호.
. 1992. "국가. 대중.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적 정치" 이론 92년 여름호.
김영수. 2004. “한국노동자 정치운동연구의 현황과 과제韓國社會學批評 4.
김일영.1996. "마르크스주의정당이론"마르크스주의와 민주주의성균관대학 교출판부.
데이비드 보일. 2005. 유강은 역. 세계를 뒤흔든 공산당 선언그린비.
레닌. 1987. 편집부 역. 두 가지 전술과 좌익 소아병분서.
. 김 탁 역. 1988. “무엇을 할 것인가레닌저작집 1전진.
. 홍수천 역. 1995.일보전진 이보후퇴풀무질.
레온 트로츠키. 1995. 김성훈 역.배반당한 혁명갈무리.
로베르트 미헬스. 2002. 김학이 역. 정당사회학:근대 민주주의의 과두적 경향 에 관한 연구한길사.
로자 룩셈부르크. 2002. 김경미 외 역. 사회개혁이냐 혁명이냐책세상.
. 1995. 최규진 역.대중파업론풀무질.
. 1987. 이성혁 역. “러시아사회민주주의의 조직문제러시 아마르크스주의거름.
마르크스. 1988. 편집부 역. 프랑스혁명연구 I 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 태백.
. 1988. 편집부 역. 1988. 프랑스혁명연구 II 루이보나빠르트의 브뤼메르 18태백.
. 1988. 편집부 역.프랑스혁명연구 III 파리콤뮨: 프랑스내전 태백.
. 1989. 김대웅 역. 독일 이데올로기 1 두레.
. 1998. 김호균 역.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청사.
. 1989. 한 철 역. “고타강령 비판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공산당 선언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공산주의자동맹규약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국제 노동자협회 창립선언당에 대하여 이성과 현실.
. 1989. 한 철 역. “국제노동자협회총칙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독일에서의 공산당의 요구당에 대하여 이성 과현실.
. 1850. “공산주의자동맹에 보내는 중앙위원회 3월 호소문당에 대 하여이성과현실.
. 1850. “공산주의자동맹에 보내는 중앙위원회 6월 호소문당에 대 하여이성과현실.
. 2010. 권화현 역. 공산당 선언웅진씽크빅.
. 1989. “베벨 리프크네히트 브라케 및 기타에게당에 대하여이성 과현실.
마토바 아키히로외. 2011. 오석철외 역.마르크스사전(マルクス學事典)b.
엥겔스. 1988. 이종훈 김용우 역. 독일 혁명사 2부작소나무.
. 1989. 한 철 역. “공산주의자동맹의 역사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권위에 대하여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노동계급의 정치적 활동에 대하여당에 대하여 이성과현실.
. 1989. 한 철 역. “프로이센 군사문제와 독일노동자 당당에 대하 여이성과현실.
 
박영균. 2008. “마르크스주의 정당. 외부라는 형식마르크스주의 연구5 2.
발터 슈미트. 1994. 강대석 역. 독일근대사한길사.
배성인. 2011. “마르크스주의와 한국의 진보정당마르크스주의 연구84.
소련공산당중앙위원회 마르크스레닌주의연구소. 1989. 김대웅 역. 마르크 스두레.
손호철. 2011. “마르크스주의와 선거마르크스주의 연구84.
아르투어로젠베르크. 1990. 박호성 역.프랑스대혁명 이후의 유럽정치사역사 비평사.
안토니오 그람시. 1986. 이상훈 역. 옥중수고Ⅰ』 거름.
윌리엄카. 1998. 이민호 강철구 역. 독일근대사. 탐구당.
이광일. 2011. “진보좌파정치의 재구성과 2012년 선거마르크스주의 연 구84.
정병기. 2011. “정당정치의 위기와 진보정치운동의 전망진보평론50
정성진. 2012. "민주노동당의 대안이념과 조직" 한국의 대안세계화운동 이 념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존 몰리뉴. 1986. 안택원 역. 마르크스주의 당 논쟁사한울.
최형익. 2011. “계급투쟁과 보통선거제도의 정치적 동학마르크스주의 연 구84.
편집부. 1988. 노동자 당의 이론과 조직학민사.
프랜시스 윈. 2001. 정영목 역. Karl Marx푸른숲.
杉原四郞 . 1988. 권명식 역. 마르크스 전기와 자본론 해설지평.
Maximilien, Rube. 1990. 김영민 역. 마르크스연대기아침.
V.V. 자글라딘. 1988. 정진호 역.세계공산주의운동입문청년사.
 
 
 
<해외문헌>
 
Cliff, Tony. 1968. Rosa Luxemburg: a study. Socialist Review Publishing Company.
. 1960. "Trotsky on substitutionism" International Socialism (first series), No.2. pp.14-17 & 22-26.
The Communist League. 1969. "Circular of First Congress to Members(1847)" MECW Volume 6. Progress Publishers.
. 1969. "Report by the Central Authority(1847)" MECW Volume 6. Progress Publishers.
C.P.S.U. 1939.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International Publishers.
Draper, Hal. 1971. "The principle of self-emancipation in Marx and Engels" Socialist Register 8.8.
. 1999. "The Myth of Lenin's ‘Concept of The Party" Historical Materialism 4.1: 187-213.
Engels, Frederick. 1969. "Draft of a communist confession of faith" MECW Volume 6. Progress Publishers.
. 1969. "Principles of Communism" MECW Volume 1. Progress Publishers.
Hallas, Duncan. 1996. "Towards a Revolutionary Socialist Party" Cliff et al.
Harman, Chris. 1968. "How the revolution was lost" Russia: From Workers’ State to State Capitalism.
. 1980. Party and class. Bookmarks US, for the Socialist Workers Party.
James, Klugmann. 1953. “Stalin’s Legacy” Labour Monthly, Vol. XXXV, No. 4, April
Johnstone, Monty. 1967. "Marx and Engels and the Concept of the Party" Socialist Register 4.4.
Ives, Peter. 2004. Language and hegemony in Gramsci. London: Pluto Press,
Lars T. Lih. 2008. LENIN REDISCOVERED. Haymarket Books.
Marx, Karl. 1969. "Revelations Concerning the Communist Trial in Cologne" MECW Volume 6. Progress Publishers.
. 1968. Marx to Friedrich Bolte In New York(1871)” Marx and Engels Correspondence. International Publishers.
. 1971. The Heroes of the Exile. London: Lawrence & Wishart.
Merrington, John. 1968. "Theory and practice in Gramsci's Marxism" Socialist Register 5.5.
Pozzolini, Alberto. 1970. Antonio Gramsci: An introduction to his thought. London: Pluto Press.
Stalin, Joseph. 1950. The Foundations of Leninism: And, On the Problems of Leninism.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 1954. “The Proletarian Class and The Proletarian Party” Works, Vol. 1.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Trotsky, Leon. 1965. The New Course, and the Struggle for the New Cours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Van Ree, Erik. 1993 "Stalin's Organic Theory of the Party." Russian Review 52.1: 43-57.

댓글 없음:

댓글 쓰기